본문 바로가기
임상생리

TCD(뇌혈류 초음파) 검사

by Mensh 2025. 3. 12.

 

※속도:  MCA>ACA>ICA>Siphon>BA>VA

 

  Direction Depth VM MHz 정상혈류 형태 Power
MCA Toward(+) Red 30~60 55±12 2 고혈류저저항 100
ACA Away(-) Blue 60~80 50±11 2 고혈류저저항 100
PCA Toward(+) Away(-) R/B 60~80 39±10 2 고혈류저저항 100
BA Away(-) Blue 80~120 41±10 2 고혈류저저항 100
VA Away(-) Blue 60~90 38±10 2 고혈류저저항 100
OA Toward(+) Red 40~60 21±5 2 소혈류고저항 10
ICA Siphon Bidirection Red /Blue 60~80 41±11 2 소혈류고저항 10
ICA Away(-)      4 소혈류고저항 100
ECA Away(-)     4 소혈류고저항 100
CCA Away(-)     4 소혈류고저항 100

 

※ PI 지수 

정상치: 0.6~1.2

-PI 0.5이하:  측부순환

근위부 협착이 있는 경우 세동맥의 확장에 의해 말초저항이 감소하여 PI 는 감소

 Doppler 파형은 수축기 속도와 이완기 속도차의 감소로 인해 뭉툭 (blunt shape)

 

-PI 1.5이상: 혈관 협착, 혹은 뇌압 항진을 의미

뇌압상승과 같이 말초저항이 증가하는 상태에서 P I는 증가하고 Doppler 파형은 뾰족(spiky appearance)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 

P I값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그 변이가 큰 관계로 결과 해석시 정량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

 

 

#################################################################################

🧠 뇌혈류 초음파 검사 (Transcranial Doppler, TCD) 개요

목적:뇌혈관의 협착, 폐색, 색전, 혈류속도 이상, 뇌사 판정, 뇌압 변화, 자율신경 기능 등을 평가

장점:
비침습적, 반복 가능, 실시간 측정 가능, 휴대용 장비 사용 가능


검사 대상:

일과성 허혈발작(TIA) 또는 뇌졸중 의심

 뇌졸중 위험 평가

뇌사 판정

뇌내압 상승 감시

심장수술 후 색전 모니터링

모야모야

편두통, 두통, 어지럼증 등 

뇌혈관 질환 환자의 follow up 용도로 정확한 진단 가능 

색전증

뇌협착증


 

🔍 검사 방법

 

 

1. 검사 전 준비

환자는 편안한 자세로 눕거나 앉은 상태 , 콘택트 렌즈 착용시 제거

백내장 수술 환자는 안와창 검사시 3개월 후 검사( 백내장 재발 우려)

의안은 초음파 통과 못하므로 검사 불가

젤을 도포하고 프로브(sond)를 특정 '초음파 창(ultrasound window)'에 위치시킴


📍 검사 창(ultrasound window)과 접근 방법

TCD에서는 두개골의 얇은 부위를 통해 초음파를 통과시켜야 하므로, 다음 네 가지 검사 창을 사용합니다:


 

1. 측두창 (Transtemporal Window)

위치: 귀 바로 위, 측두골 얇은 부위


검사 대상 혈관:

중대뇌동맥(MCA) 

전대뇌동맥(ACA) 

후대뇌동맥(PCA)


실무 팁:

프로브를  놓고, 귀 바로 위, 측두골 얇은 부위에 검사

귀옆에서 중앙(MCA), 전방(ACA), 후방(PCA)상하 방향으로 프로브 각도를 조정하며 혈류 신호 탐색


깊이(D) 설정:

-MCA: 약 50~65mm : 65 →60→55→50→45


-ACA: 약 60~75mm : 65→70→75(85까지도) 
두개강 외에서 ICA가 좁아지거나 막히면 반대편 ACA의 MFV는 증가하고 동측 ACA 의 혈류방향이 역방향으로 나옴


-PCA: 약 60~70mm :PCA확인법: 검사시 EOC(개폐안)에 의한 혈류속도변화도움                   

                                       EO: 사물 주시시 10~20% 다시 ↑  

                                       EC: 혈류 감소 ↓

PCA는 양방향 중 한 방향만 나오면 invert 해서 결과 내면 됨( 양방향중 하나만 나오면 음향 듣고 +,- 둘중 사용 가능

MCA  뇌경색시

①OA의 혈류방향 / PI 지수( 깊이 : 52~58) 확인
②ICA siphon(깊이 60~64)에서 확인 
③BA : 협착, 이차적인 혈류증가 확인
④VA 
ACA 혹은 PCA 뇌경색시 

①병변쪽의 MCA 
②ACA , PCA,  ICA siphon 확인 
=========================================
간단하게 
양측 MCA, 병측 ACA 확인 가능 
=============================================
뇌경색 협착 진단시 적혈구 용적율과 갑상선 기능이 혈류 속도에  영향을 줄수 있음 

혈관에 폐색 혹은 심한 협착이 발생하게 되면 TCD상에서 인접 한 혈관의 혈류속도가 높아지는 혈류전환(flow diversion)을 보일 수 있다. 두개강 외에서 ICA가 좁아지거나 막히면 반대편 ACA의 MFV는 증가하고 동측 ACA 의 혈류방향이 역방향으로 바뀐다. 동측 OA의 혈류방향도 머리쪽으로 역전될 수 있다.

2. 눈창 (Transorbital Window) : power 낮춰서 진행 

위치: 눈을 통한 검사 (눈꺼풀 위로)


검사 대상:

안동맥(Ophthalmic Artery) : OA의 역방향 혈류는 심한 ICA협착에 의한 측부순환

내경동맥의 siphon 구간


실무 팁:

반드시 젤을 얇게 바르고 안구 압박 피하기

감쇠한 출력 사용 (눈 조직 보호)

눈 감은 상태에서 안구 중심부로 수직 접근


깊이

Ophthalmic A.: 약 40~60mm : 눈 감은 상태에서 안구 중심부로 수직 접근

ICA siphon: 60~80mm : 눈 감은 상태에서 눈꼬리에서 코쪽으로 초음파를 쏜다고 생각하고 접근

 

OA의 역방향 혈류는 심한 ICA협착에 의한 측부순환

 


3. 후두창 (Suboccipital or Transforaminal Window)

위치: 머리 뒤쪽, 후두골 아래쪽 (목과 머리 경계)


검사 대상:

기저동맥(BA): 

척추동맥(VA)


실무 팁:

환자를 측와위 또는 앉은 자세로 하고, 고개를 숙이게 함

프로브를 후두골 아래쪽에서 위 방향으로 삽입


깊이:

BA: 80~120mm : 목 뒤쪽 쏙 들어간 곳에서 이마 정중앙으로 초음파를 쏜다고 생각하고 접근

VA: 60~90mm  : Lt VA - Rt 눈쪽으로 초음파 쏜다고 생각하고 접근

                           Rt VA - Lt 눈쪽으로 초음파 쏜다고 생각하고 접근

 


4. 하악창 (Submandibular Window)

위치: 턱 밑


검사 대상:

내경동맥(ICA)의 하부


실무 팁:

턱 밑에 프로브를 대고, 위쪽으로 조준

깊이: 약 35~80mm


🛠️ 실무 검사 팁 요약

창(Window)위치주요 혈관깊이(mm)              
측두창 귀 옆쪽 ,앞쪽,아래쪽  MCA, ACA, PCA 45–75
눈창 눈꺼풀 위/ 눈꼬리  Ophthalmic A., ICA siphon 40–80
후두창 후두골 아래 VA, BA 60–120
하악창 턱 밑 ICA 35–80

프로브 조정법:

수동으로 조금씩 각도 조정하며 혈류 도플러 신호 탐색

도플러 신호를 찾으면 스펙트럼 분석으로 혈류 속도, 방향 파악

**색상 도플러(CFD)**가 있다면 활용하여 혈류 흐름 시각화


혈류 방향 판별:

도플러 신호의 위/아래 위치로 판단 (probe 기준에서 오는 방향인지(T) 가는 방향인지(A))

장비에 따라서 Gain, Power , sample 조절하면서 검사

도플러 음향 소리 : 뾱 (Chirp) - 미세 색전  (microembolism)

미세색전

 혈액의 와류현상 , 협착 잡음 소리( 척 ,척 )들으면서 해야함

 

 

 

근위부 혈관의 폐색이 있어 측정 혈관이 측부 순환되는 경우 : 혈류방향이 바뀌므로 혈류방향 숙지 필요

 

좌우 비대칭 계수  : 좌우 평균혈류 속도 차이가 30cm/sec이상                           
                           
   백 분율 좌우차 30% 이상일때  협 착 의심
     : ( 빠른쪽 혈류속도- 느린쪽혈류속도) / 느린쪽 혈류속도의 백분율                               

                               

  (MCA, Siphion ICA) 에서 비대칭 계수가 높으며, 저혈류 다저항 혈관에서는 해석 주위 필요

 

부정맥 있으면 보이게 잡아주고, PI지수에 너무 신경 쓰지말고, M-모드와 혈류 음향을 들어가면서 검사 

        depth 나누지 않고 하나만 잡을시 양쪽 depth 동일시함에 신경쓰지말고,

       양쪽 비교하니 같은 sensitivity(진폭) 조건으로 

       확신이 있다면   속도 높은 파형을 내는게 맞는 듯 합니다. 

 

       정상 파형에 익숙해 지셨다면 이상 파형도 더 잘 보이고 들리실 겁니다. 

 


✅ 결론

TCD는 두개골을 통한 정밀한 혈류 검사로, 각 검사창의 정확한 위치 선정과 프로브 조작이 핵심입니다. 실무에서는 각 창별로 적절한 깊이와 각도를 조절하며 도플러 신호를 탐색해야 하며, 환자 자세와 협조도 중요해요.

 

 

※진단 기준(diagnostic criteria for TCD)

 

-혈류속도의 변화(전체적 혹은 국소적)

-혈류 지표의 비대칭성 (side to side, segemental)

-박동성(pulsatility, high or low, PI)

-파형(waveform) : 고혈류저저항, 소혈류고저항

-비정상적인 음향(협착잡음-murmur), 미세색전신호 (microembolic signal, MES)

 

 

 

 

 

 

 

 

급성 뇌경색에서 TCD 

 


 

 

 

경두개 초음파검사에서 나타난 전대뇌동맥 혈류이상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