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생리

Radiculopathy (신경근병증)의 신경전도검사(NCS) 특징

by Mensh 2025. 2. 12.

Radiculopathy (신경근병증)의 신경전도검사(NCS) 특징

**Radiculopathy(신경근병증)**는 **척수 신경근(nerve root)**이 압박, 염증 또는 기타 원인으로 손상되는 질환으로, 디스크 탈출증(Herniated Disc),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 신경근염(Radiculitis)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경전도검사(NCS)에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감각 신경(Sensory Nerve) 전도검사

  • 정상 또는 경미한 이상
  • 신경근병증은 **신경근(nerve root)**의 문제이므로, 신경절(dorsal root ganglion, DRG) 이후에 손상이 발생합니다.
    감각 신경 활동전위(SNAP, Sensory Nerve Action Potential)는 정상인 경우가 많음.
    → 이는 말초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과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입니다.

2. 운동 신경(Motor Nerve) 전도검사

  • 복합 근육 활동전위(CMAP,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감소 가능
    • 신경근 손상으로 인해 지배받는 근육의 활성도가 감소하여 CMAP 진폭이 낮아질 수 있음.
    • 그러나 신경 전도 속도(NCV)는 비교적 정상 유지 (수초는 주된 병변이 아니기 때문).

3. F-파 (F-wave) 이상

  • F-파 잠복기(F-wave latency) 연장 또는 소실
    • 신경근병증에서는 근위부 신경(root)이 손상되므로, F-파 반응이 지연되거나 사라질 수 있음.
    • 특히 L5, S1 신경근 손상 시 F-파 이상이 잘 관찰됨.
    • 이는 말초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과 감별하는 데 유용함.

4. H-반사 (H-reflex) 이상

  • H-반사 잠복기 연장 또는 소실
    • S1 신경근 손상 시 H-반사 지연이 가장 흔히 나타남.
    • 이는 척수 반사 회로의 장애를 반영하며, 특히 좌골신경근병증(Sciatic Radiculopathy) 진단에 중요함.

5. 전기진단에서 확인이 어려운 경우

  • Radiculopathy는 말초신경 자체의 이상이 아니라 신경근(root) 손상이므로, NCS에서 뚜렷한 이상이 없는 경우도 많음.
  • 따라서 침근전도검사(EMG, Electromyography)가 더 민감할 수 있음.
    (EMG에서는 **근육에서 신경 손상 징후(양성 예파, 거대 운동단위 등)**가 관찰될 수 있음.)

🔎 Radiculopathy vs. Neuropathy vs. Neuronopathy 비교

구분신경 전도 속도 (NCV)CMAP 진폭SNAP 진폭F-파H-반사

Radiculopathy 정상 또는 경미한 감소 감소 가능 정상 연장 또는 소실 연장 또는 소실 (S1 신경근에서 주로)
Neuropathy (말초신경병증) 감소 (수초병증일 경우) 감소 가능 감소 연장 가능 정상 또는 연장
Neuronopathy (운동 신경병증) 정상 감소 정상 연장 가능 정상

📌 요약

  1. 감각 신경 활동전위(SNAP)는 정상 → 신경절 이후 손상이므로 말초신경병증과 감별 가능.
  2. 운동 신경의 CMAP 진폭 감소 가능 → 근육에 대한 신경 공급이 감소할 수 있음.
  3. F-파 지연 또는 소실 → 근위부 신경(root) 병변을 반영.
  4. H-반사 지연 또는 소실 → S1 신경근 손상에서 흔함.
  5. 침근전도검사(EMG)에서 신경 손상 증거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

Radiculopathy의 경우, NCS보다는 침근전도검사(EMG)와 임상 증상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더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