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학적 검사상 : 안진 있다면 참고
-HRT : Horizontal BPPV 가능성 ( geo : canalo // apo : cuplo )
-Dix-Hallpike : Vertical BPPV 가능성
-Calroic test : Vestibular neuritis
Meniere's disease 가능성
============================================================================
Calibration : (상하좌우 )깔끔하게 해야 뒤에 결과가 좋음
Gaze (Rt) (Lt) : 안진이 있다면 한 쪽 응시 중 어느 쪽이 대소한지 알아보기
(좌우 주시 달리함에 있어서 안진 방향 변화 없다.----- 말초병변)
-건측 응시시 안진 커지는지 확인
-환측 응시시 안진 작아지는지 확인
※ 양쪽 주시에서 비대칭안진(대소), 방향전환안진 유무확인
Spontaneous : 보통 병변 반대쪽으로 향하는 안진
-Fix : 자발안진이 있으면서 fix시에 안진 작아지는지 확인 (말초병변)
-Fix시에 작아지지 않으면 중추일 가능성
( caloric test: 최고 값일때 캡 제거하고 확인 가능= 1/2~1/3작아져야 함 )
-Without Fix (차광): 자발안진이 있는 상태에서 안진이 더 커지는지 확인
Post head shaking : 병변 반대측으로 향하는 안진 ( VN )
====================================================================================
Smooth Pursuit : 촛점의 슬라이딩 속도에 맞춰서 머리 움직임 없이 보기
Low gain, asymmetry, saccadic
* 환자가 한 방향으로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지만 다른 방향으로 추적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상은 병변이 있는 쪽으로 나타납니다.
Saccade : 촛점 따라보기(먼저 가는 것 없이 뒤따라 가야함)
overshot, undershot, 계단 saccade 여부 확인
Optokinetic Nystagmus : 40도 이상의 기울기로 양쪽 검사 (30~60초)
OKN후 안진 사라지는지 Test (OKAN)
안진유발해서 양방향 전환 잘되는지 보는 뇌간 이상유무검사
-검사시 머리 움직이지 말고( 머리 고정)
-눈으로만 눈앞에 오는 선 보거나 따라가시라고(전체 보는 것 말기)
-시력저하, 시야결손, 안근마비, 의안 유무 확인하기
-OKN시에는 안진 빈도가 많아지는지, 적어지는지도 병적 소견
※ 왼쪽 했다가 오른쪽 했을때 방향 전환 잘 되는지, 좌우 각도 비슷한지, 양방향 OKN검사 후 안진이 사라지는지 test
=======================================================================================
Positional Head : Horizontal BPPV병변 검사 --- 그래프보다는 영상우선
(결과 분석시 Horizontal 위주로 하되 Vertical 로 안진 있을시 참고하고 분석)
-Center head(supine): 병변측 안진( cuplo) / 병변 반대측 안진( canlo) ※(지속적인 DB시 중추 의심)
-Rt head turning : RBN (Canalo 가능성) / LBN( Cuplo 가능성)
-Lt head turning : LBN (Canalo 가능성) / RBN( Cuplo 가능성)
* Head Roll시 canalo(cuplo)면 안진 크기 차이( 큰쪽/작은쪽)
supine 방향(반대쪽/supine쪽 )
Bending 시 안진 방향( 환측/건측 )
확인가능
-Bending : 머리를 숙이고
Bending에서 안진: (환측 안진) Horizontal canalo BPPV ===> 반대라면 Cuplo
**Bow and lean test : 병변이 어느 쪽인지 확인 가능한 검사
Bow(90도 고개 숙이고) : 환측 안진 (DB)
Lean(45도 머리 젖히고) : 건측 안진 (UB)
=======> Bow/ Lean이 반대면 : Cuplolithiasis
※Canalolithiasis : HRT시에 Geotropic 안진(땅으로 향하는 안진)
※Cuplolithisis : HRT시에 Apogeotropic 안진(천장으로 향하는 안진)
========================================================
Dix-hallpike : Vertical (Posterior/ Anterior) BPPV병변 검사
그래프보다는 영상우선
(결과 분석시 Vertical 위주로 하되 Horizontal로 안진 있을시 참고하고 분석)
*Hanging : UB / Sitting : DB===> PSC (주로 많다)
*Hanging : DB / Sitting : UB===> ASC(많지는 않다)
-Rt Head hanging
-Rt Sitting
-Lt Head hanging
-Lt Sitting
======================================================================================
Caloric test : 전정기능의 소실(VN), 메니에르병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 하는 검사로
Horizontal 반고리관 기능검사
냉온수( or 냉온공기)을 이용해서 검사
검사시 찬 바람 후 interval 5분 후 따뜻한 바람 실시
CP값이 25% 이상일 경우 전정신경염
-자발안진이 있었을 경우 자발안진의 값을 넣음으로써 자발안진 제외하고 측정
- 수평반고리관을 보는 검사기 때문에 Horizontal 분석해서 이탈한건 제외하고 결과 값 산출
※온도안진검사 해석
양측 고막에 냉온공기자극( 또는 냉온수) 이용해서 안진을 유발시킴.
정상적으로 안진이 있어야 하지만 No response/ Hypo response 일때 의의 있음
24도 냉자극후 1~5분 interval 후 50도 온자극 후 발생하는 안진 기록
: 반고리관 마비(CP)값이 25%이상일 경우 전정신경기능저하
-안진방향긴준 : COWS(Cold-Opposite side / Warm -Same side)
CUWD(Cold Up Ward, Warm Down Ward)
찬물 : 내림프액이 아래로, Lt ear -RBN / Rt ear -LBN
더운물: 내림프액이 위로, Lt ear -LBN / Rt ear -RBN
- dysrhythmia : 안진의 크기에 변동이 있는 경우
- caloric inversion: 냉자극과 온자극에 대한 안진의 방향이 서로 바뀌어 나오는 경우
- caloric reversal : 안진의 방향이 온도자극 후 반응초기에 반대방향으로 바뀌는 경우( 중추성 병변을 시사)
반고리관 기능 상실 여부확인 : 회전검사를 통해서 반응여부 확인 필요
======================================================================================
Vestibular Neuritis 안진 특징 및 확인검사
증상 : 건측을 향하는 자발안진
- 검사상에서 일측방향으로만 생기는 안진 발생
- 현기증 지속기간 수일
- 환측으로 쓰러짐
VN 확인 검사 및 안진 특징
-Gaze: 건측 응시시 안진 커짐/ 환측 응시시 안진 작아짐
-Spontaneous : 건측을 향하는 자발안진 및 시고정시에 안진의 정도가 작아짐
-Post head shaking : 건측으로 향하는 안진
-Caloric Test : CP값 25% 이상일 경우 VN
-Head implus test 시에 환측에서만 cath up saccade
-C VEMP : 하전정신경 VN
-전정신경염과 같은 말초성자발안진의 경우 일측 방향으로만 향하며, 좌우 주시를 달리함에 따라 안진의 방향이 바뀌지 않는다는 점과 시고정(visual fixation)에 의해 안진의 정도가 작아진다는 점이 중요하다.
Catch-Up Saccades: 안구 운동 조절 및 임상적 중요성 향상 https://sciencegate.blog/catch-up-saccades-eye-movement-control/
Catch-Up Saccades: Enhancing Eye Movement Control and Clinical Significance
**Catch-up saccades** are corrective eye movements that occur when an initial saccade fails to accurately land on a target, reducing visual errors and enhancing perception. They involve a series of key metrics, including error, latency, amplitude, peak vel
sciencegate.blog
========================================================
Meniere's disease
빙빙 도는 현기증 발작이 20분에서 수 시간 지속되고 일측성 이명, 난청과 이충만감을 동반
재발성 현기증과 와우현상( 어지럼과 함께 이충만감, 이명, 난청 ) 나타남
변동성 난청이 초기에 회복되고 나중에 진행
검사 : 청력검사에서 난청(저음역난청/ 진행성 난청)
Caloric test : 일측성 반고리관 부전마비 가능
'임상생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정신경염(Vestibular neuritis) : 확인법( VNG/VEMP...) (2) | 2025.04.06 |
---|---|
경미한 CTS를 위한 CSI(combined sensory index) TEST (0) | 2025.04.06 |
어지럼증 검사에서 Bending Head Roll Test와 Bow and Lean Test (0) | 2025.04.06 |
TCD(뇌혈류 초음파) 검사 (0) | 2025.03.12 |
신경과 실용 의학 용어 (0) | 2025.03.11 |